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이상해

@sangheeflee

나 고인류학자 맞나?

ID: 451068962

calendar_today31-12-2011 00:44:00

9,9K Tweet

14,14K Followers

341 Following

신간봇 (@newbookbot) 's Twitter Profile Photo

사소한 인류 이상희, 김영사, 2025 한국 최초의 고인류학자로서 최초의 인류가 지녔던 ‘인간다움’이란, ‘인간다운 존재’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직업인의 눈으로 본 오늘날의 일상과 삶이 담겼다. 목욕탕 속 여자들의 다채로운 맨몸을 보고, 육아-출산을 거치며 느낀 단상 aladin.co.kr/shop/wproduct.…

아일 (@ai11land) 's Twitter Profile Photo

#도서제공 김영사에서 나온 한국 최초의 고인류학자 이상희 교수의 첫 에세이, 『사소한 인류』 책이 도착했어요! 이 책을 읽고 인류에 대한 무언가의 실마리를 얻기를 바라며. 잘 읽겠습니다.

#도서제공
김영사에서 나온 한국 최초의 고인류학자 이상희 교수의 첫 에세이, 『사소한 인류』 책이 도착했어요! 이 책을 읽고 인류에 대한 무언가의 실마리를 얻기를 바라며. 잘 읽겠습니다.
다미🕯️ (@ddami1124) 's Twitter Profile Photo

난 수현이가 이거찍고나서 자기는 누구랑 듀엣을해도 단한번도 100프로를 발휘해본적이 없는데(그래야서로조화로우니까..)그래서 리허설때 이정도겠거니..하고 살살불렀다가 도경수 성량에 식겁해서 노래하면서 처음으로 있는힘껏 100프로로 불러봤다는 후기를 정말좋아한다

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Photo

다리 하나 없어져서 부랴부랴 병원에 데리고 왔더니 없어졌던 다리가 기적적으로 다시 등장한…. 게 아니고 중성화 수술 전 혈액 검사 위해 피 뽑으러 왔어요. 인간의 반려견 돌봄의 역사에 대해서도 제 신간 #사소한인류 (김영사)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Photo

제 신작 #사소한인류 (2025, 김영사) 코다가 자주 등장합니다. 잠깐 눈 돌린 사이에 네모난 계단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었다는 표현이 책에 나오는데요, 믿지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 증거 동영상 제출합니다. (물론 코다가 아기 시절에 저지른 일이고요, 요즘은 절대 그러지 않습니다!)

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Photo

날도 추운데 코어 운동으로 속을 든든하게 만들까요? 12번씩 3회, 5분이면 됩니다. 코어 운동이 중요한 이유는 신간 #사소한인류 (김영사 2025)에도 나옵니다.

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Photo

#사소한인류 (김영사 2025) 개 얘기가 많다는 서평이 있습니다. 책에는 강아지가 두 마리 등장합니다. 지금의 코다가 있기 수십 년 전 이야기에 등장하는 쫑쫑이 증거 사진 제출합니다. 고무신 신은 꼬마가 저 맞아요 ㅎㅎ

#사소한인류 (김영사 2025) 개 얘기가 많다는 서평이 있습니다. 책에는 강아지가 두 마리 등장합니다. 지금의 코다가 있기 수십 년 전 이야기에 등장하는 쫑쫑이 증거 사진 제출합니다. 고무신 신은 꼬마가 저 맞아요 ㅎㅎ
살아있는시인의사회 (@die24you) 's Twitter Profile Photo

📖 『사소한 인류』 📖 『사소한 인류』는 고인류학자로서 오랜 시간 화석과 유물 속 인간의 흔적을 연구해 온 저자가, 그 연구자적 시선을 일상으로 끌고 나와 평범한 일상 속 인간다움을 바라보는 책이에요. 작고 사소한 순간에도 삶의 온기가 깃들어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스스로를 자주

📖 『사소한 인류』 📖

『사소한 인류』는 고인류학자로서 오랜 시간 화석과 유물 속 인간의 흔적을 연구해 온 저자가, 그 연구자적 시선을 일상으로 끌고 나와 평범한 일상 속 인간다움을 바라보는 책이에요.

작고 사소한 순간에도 삶의 온기가 깃들어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스스로를 자주
이상해 (@sangheeflee) 's Twitter Profile Photo

뭘 몰랐을 때는 뽑히는 기사 제목에 어리둥절한 적이 많았다. 어 그 얘기는 메인이 아니었는데..? 이제는 좀 감이 잡힌다. 내가 한 이야기의 포인트가 아니라 독자들의 관심을 가장 끌만한 포인트가 제목으로 뽑히는 것 같음. 물론 악플도 관심이다 ㅎㅎ n.news.naver.com/article/0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