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비트코인, $BTC를 모아서 시나몬 토스트로

ID: 1768897119832997888

calendar_today16-03-2024 07:08:46

1,1K Tweet

649 Followers

411 Following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음모론, 도박충, 아웃사이더 취급 주변사람들에게 비트코인을 추천하면 돌아오는 대답들이다. 또 이상한 음모론 같은 거 믿는다~ 도박하지마 어떻게 될지 모르잖아 남들 하는걸 해야지 왜 혼자만 항상 코인 얘기를 하면 ‘진지한’ 투자라기 보다는 어딘가 재밌는 웃긴 사람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무임승차는 왜 사람을 화나게 할까? 사회는 어쩔 수 없이 약자를 위해 비용을 안내고 누릴수 있는 혜택이 있다. 대표적인게 국방의 의무이다. 군대에 가는 사람이 가지 않은 사람 전부를 공짜로 태우는 버스인거다. 모든 국가는 전쟁을 통해 망하거나 생기기 때문에 처음엔 이 버스에 구성원들이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비트코인 곧 오를거 같은 이유 1. 회사 아줌마들이 코인 얘기안함 2. 인터넷에서 코인 얘기안함 3. 뉴스에서 코인 관심없음 4. 대선후보들도 별말 없음 이정도면 엑조디아인데 이럴 때 조용히 폭등..! ㅋㅋㅋ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비트 안전자산 논란 종결 비트가 안전자산이니 위험자산이니 쓸데없는 말이다. 그냥 사고 싶으니까 사는거지 뭘 이유를 붙여 자꾸 ㅋㅋ 달러 ㅈㄴ 찍어서 못믿겠다 걍 비트사자 이거같음요 비트오르는 이유 = 사고싶어서 어쩌구 저쩌구때문에 올랐다= 비정상 “아! 비트가 사고싶었구나!” = 정상

리얼치킨보이 (@realchickenboy9) 's Twitter Profile Photo

그동안 패드립빼고는 차단 안했는데.. 싹 다 차단해야겠다. 좋은 글에는 눈팅하고가고 까고싶은 글에는 어디선가 쓱 나와서 조롱하고 도망가는 사람들.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이제 곧 나오는 기사들 미리보기 1. 비트코인 2억 시대, 투자냐 투기냐 2. 비트코인 열풍에 금융당국, 규제 카드 만지작? 3. 비트코인 2억 시대, 청년 투자 광풍… 괜찮나? 4. 비트코인 4억 전망 속, 국내 자산 거품 논란… 5. 암호화폐 광풍, 비트코인 2억 돌파… 금융 안정성 위협하나? 6.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불로소득 때려잡자가 어이없는 이유 맨날 불로소득 뺏어야한다 어쩐다 세금메기자는데 ㅋㅋㅋㅋ 그말 하는 사람들 대부분 회사에서 일안하고 맨날 정치얘기 징징징 그거는 불로소득 아니에요? 본인도 일 안하는데 예전 관리자가 좌파였는데 일얘기 할때는 듣는둥 마는둥 대충하는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GPT를 통해 BTC 가격 예상 (2025 ~ 2040) GPT 기능이 업그레이드 됐다고 해서 한번 예측을 시켜봤습니다! (프롬프트는 비밀) 희소성 중심의 하이브리드 예측 모델 (BTC Scarcity Fusion Model)을 적용했다고하고 AI 기반 희소성 예측 모델 결과이며 시장 환경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GPT를 통해 BTC 가격 예상 (2025 ~ 2040)

GPT 기능이 업그레이드 됐다고 해서
한번 예측을 시켜봤습니다! (프롬프트는 비밀)

희소성 중심의 하이브리드 예측 모델
(BTC Scarcity Fusion Model)을 적용했다고하고

AI 기반 희소성 예측 모델 결과이며
시장 환경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반복되는 역사 정부의 자산통제가 강해질수록 은닉·대체자산은 더 빨리 퍼진다 1993년 금융실명제 시행 -> 현금·금 실물화 증가 1997년 외환위기 + 금모으기 운동 -> 금 매입, 암거래, 달러 수요 급증 2017년 부동산 규제 강화 -> 크립토, 해외주식 유입 다음도 미친 규제들을 준비하고 있는거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유튜브에 왜 망했다는 콘텐츠가 많을까? 제가 유튜브 채널 3개를 하면서 느낀점인데 ㅋㅋㅋㅋ 긍정적인 무드의 영상은 구독자를 모으기 좋고 부정적인 무드의 영상은 단발성 조회수 뽑기 좋아서 저 전략은 단발성 조회수로 음원협업 노리는 전략이라 비트코인에 대해 잘 몰라도 인터넷에서

유튜브에 왜 망했다는 콘텐츠가 많을까?

제가 유튜브 채널 3개를 하면서 
느낀점인데 ㅋㅋㅋㅋ

긍정적인 무드의 영상은 
구독자를 모으기 좋고

부정적인 무드의 영상은 
단발성 조회수 뽑기 좋아서

저 전략은 단발성 조회수로
음원협업 노리는 전략이라

비트코인에 대해 잘 몰라도
인터넷에서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계약은 지켜야 한다. 문명사회라면 법치국가라면 계약은 지켜야 한다. 나한테 투자해준 회사가 있는데 돈 잘벌게 됐다고 수익금 나누기 싫어서 나간다고 하면 자본주의는 붕괴한다. 수익금을 혼자 독식하고 싶으면 계약서대로 7년 동안 활동하고 자기가 나가서 법인 차리면 된다. 명심해야할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전속계약이 싫다면 체결하지 않으면 된다. 강압에 의한 계약이 아닌 이상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 당사자간 계약을 체결했는데 일단 그 약속은 존중해야 하지 않을까 엔터사업이라는 엄청난 리스크가 있는 투자를 하는데 전속계약이라는 권리가 보장이 안되면 누가 투자를 할까 만약 그렇게 7년

전속계약이 싫다면 체결하지 않으면 된다.

강압에 의한 계약이 아닌 이상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 당사자간 계약을 체결했는데
일단 그 약속은 존중해야 하지 않을까

엔터사업이라는 엄청난 리스크가 있는
투자를 하는데 전속계약이라는
권리가 보장이 안되면 누가 투자를 할까

만약 그렇게 7년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할때 당신의 전략은? 게임의 룰은 이렇다. 둘다협력 = 약한 처벌 한쪽배신 = 배신자는 보상 = 협력자는 강한 처벌 둘다배신 = 강한 처벌 이 게임에서 전략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호구 = 항상 협력 빌런 = 항상 배신 회의주의 = 협력 스타트 이후 상대랑 똑같이함 관대한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이 게임의 승률은 회의주의가 가장 높다고 합니다. 팃포탯(Tit for Tat)이라고 하는데 요약하면 처음에는 무조건 믿어주고 신뢰가 유지되면 계속 신뢰를 유지하고 날 배신하면 같이 배신하며 공격하라는 건데요. 이를 근거로 사회에서 서로를 믿고 인간관계에서 팃포탯을 전략으로 쓰라는 영상을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다른건 잘 모르겠는데 지역화폐가 물가는 올릴거 같은데 전국물가 = 모든 지역에 있는 물가 원래 경기부양이라는게 그런거 감안하면서 하는거니까 해보자는건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물가도 안오르고 경기만 부양되는 그런 만능정책은 없죠 하나 더 확실한선 이 돈의 종착역은 아파트라는거

Cinnamon toast crunch (@cinna_montoast) 's Twitter Profile Photo

오늘 새로운 사실을 알았습니다. 재정지출은 m2를 증가시키지 않으니 지역화폐가 참 괜찮다는 건데요. 새로운 제안를 해봅니다 모든 세대에 분기별로 200만원 지급 어떻습니까? 물론 지역화폐로요. 이참에 이름도 기본화폐로 하면 브랜딩도되고 좋을거 같은데 어차피 호텔 예약하는거 처럼 돈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