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OSTECH

@postech2020

Official Twitter of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D: 108232814

linkhttp://www.postech.ac.kr calendar_today25-01-2010 08:13:15

4,4K Tweet

1,1K Takipçi

1,1K Takip Edilen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환동해아카데미 강연] 바다에도 지켜야 하는 법이 있나요?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은 경상북도민을 대상으로 해양관련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 강좌를 제공하여 환동해 지역 해양문화와 역사 이해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강연들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환동해아카데미 강연] 바다에도 지켜야 하는 법이 있나요?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은 경상북도민을 대상으로 해양관련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 강좌를 제공하여 환동해 지역 해양문화와 역사 이해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강연들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신경에 귀 기울이다” 배뇨장애 치료, 이제는 ‘맞춤 자극’ 시대 POSTECH·한양대 공동 연구팀은 신경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외부 자극에 실제로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KXb2

“신경에 귀 기울이다” 배뇨장애 치료, 이제는 ‘맞춤 자극’ 시대

POSTECH·한양대 공동 연구팀은 신경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외부 자극에 실제로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KXb2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전극과 전해질 딱 붙여 실리콘 배터리 수명 한계 넘는다 POSTECH·서강대 연구팀은 전극과 전해질이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인 'IEE(In Situ Interlocking Electrode–Electrolyte)‘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KXdU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전극과 전해질 딱 붙여 실리콘 배터리 수명 한계 넘는다

POSTECH·서강대 연구팀은 전극과 전해질이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인 'IEE(In Situ Interlocking Electrode–Electrolyte)‘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KXdU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POSTECH, 제51회 부산 장보고기 전국조정대회 여자대학부 종합우승 쾌거🏆 m.site.naver.com/1KXj1

📣POSTECH, 제51회 부산 장보고기 전국조정대회 여자대학부 종합우승 쾌거🏆
m.site.naver.com/1KXj1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제37회 ICF (ISDS-C/G monthly Forum) 개최 안내 [AI와 더불어 살기] ▶ 일시 : 2025년 7월 9일(수) 오후 4-6시 ▶ 장소 : 체인지업 그라운드 2층 미디어홀 ▶ 연사 : 김영진 박사 (SKT) ▶ 등록 : forms.gle/dCfFJa4zHjpUXL…

📣제37회 ICF (ISDS-C/G monthly Forum) 개최 안내

[AI와 더불어 살기]
 
▶ 일시 : 2025년 7월 9일(수) 오후 4-6시
▶ 장소 : 체인지업 그라운드 2층 미디어홀
▶ 연사 : 김영진 박사 (SKT)
▶ 등록 : forms.gle/dCfFJa4zHjpUXL…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댐이 바꾼 바다: 수은 줄었지만 더 위험해졌다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 연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영광 박사 연구팀이 30여 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해 댐 같은 인프라가 서해안 독성 물질의 생물 축적 양상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m.site.naver.com/1La9H

댐이 바꾼 바다: 수은 줄었지만 더 위험해졌다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 연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영광 박사 연구팀이 30여 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해 댐 같은 인프라가 서해안 독성 물질의 생물 축적 양상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m.site.naver.com/1La9H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판 두께’만 바꿨을 뿐인데... 소리부터 초음파까지 모아 전기 만든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소리부터 초음파까지 초광대역 파동을 한 지점에 모으고, 이를 전기로 바꾸는 메타표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abZ

‘판 두께’만 바꿨을 뿐인데... 소리부터 초음파까지 모아 전기 만든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소리부터 초음파까지 초광대역 파동을 한 지점에 모으고, 이를 전기로 바꾸는 메타표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abZ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손끝으로 조종하는 로봇, 산업현장 안전 책임진다 최근 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기훈 교수, 박사과정 박재현 씨 연구팀은 산업현장의 작업자 안정과 효율 향상을 동시에 도울 수 있는 햅틱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gmK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합금이 녹는 온도? AI가 알려드립니다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 연구팀이 AI(인공지능)을 이용해 다양한 합금의 용융 특성을 쉽고 빠르게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grh

합금이 녹는 온도? AI가 알려드립니다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 연구팀이 AI(인공지능)을 이용해 다양한 합금의 용융 특성을 쉽고 빠르게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grh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KIST-POSTECH,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이번 협약은 ▲‘청정수소’, ‘AI‧로봇’, ‘이차전지’ 기술 개발 등 공통 관심분야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 추진, ▲상호 기술·인력교류,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m.site.naver.com/1Lgvi

KIST-POSTECH,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이번 협약은 ▲‘청정수소’, ‘AI‧로봇’, ‘이차전지’ 기술 개발 등 공통 관심분야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 추진, ▲상호 기술·인력교류,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m.site.naver.com/1Lgvi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김재홍 교수(예일대학교) 특별 강연 안내 POSTECH 환경공학부에서는 예일대학교 김재홍 교수를 초청하여 아래와 같이 특별 강연을 개최합니다. 포스텍 구성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환경공학동 101호 📞 환경공학부 행정팀 (054-279-8306 / [email protected])

📢김재홍 교수(예일대학교) 특별 강연 안내

POSTECH 환경공학부에서는 예일대학교 김재홍 교수를 초청하여 아래와 같이 특별 강연을 개최합니다.
포스텍 구성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환경공학동 101호
📞 환경공학부 행정팀 (054-279-8306 / dese@postech.ac.kr)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연구팀이 OLED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마다 서로 다른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는 여러개의 스피커 기능의 '픽셀 기반 로컬 사운드' 기술을 실제 노트북이나 스마트 패트 크기 13인치급 OLED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tGz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연구팀이 OLED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마다 서로 다른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는 여러개의 스피커 기능의 '픽셀 기반 로컬 사운드' 기술을 실제 노트북이나 스마트 패트 크기 13인치급 OLED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tGz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신소재공학과·반도체공학과 최시영 교수 연구팀은 부산대 이재광 교수, 통합과정 진영록 씨, 성균관대 최우석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자연 광물인 브라운밀러라이트(Brownmillerite)에서 원자 크기보다 작은 수준의 강유전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m.site.naver.com/1LtKU

신소재공학과·반도체공학과 최시영 교수 연구팀은 부산대 이재광 교수, 통합과정 진영록 씨, 성균관대 최우석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자연 광물인 브라운밀러라이트(Brownmillerite)에서 원자 크기보다 작은 수준의 강유전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m.site.naver.com/1LtKU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빛의 마법, 하나의 화면에 수십 개의 이미지를 숨기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팀이 머리카락보다 100배 이상 얇은 메타표면에 최대 36개의 선명한 이미지를 담아내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LrX

빛의 마법, 하나의 화면에 수십 개의 이미지를 숨기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팀이 머리카락보다 100배 이상 얇은 메타표면에 최대 36개의 선명한 이미지를 담아내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LrX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그린(green)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팀이 서울대 재료공학부 한정우 교수팀과 함께 기존보다 두 배 이상 효율적으로 그린 수소를 만들 수 있는 철 기반 촉매를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Lxz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그린(green)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팀이 서울대 재료공학부 한정우 교수팀과 함께 기존보다 두 배 이상 효율적으로 그린 수소를 만들 수 있는 철 기반 촉매를 개발했습니다.
m.site.naver.com/1LLxz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AI가 그린 홍수 위험지도… 대도시가 더 위험하다?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 연구팀과 경북대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역별 홍수 위험도를 예측하고 전국의 ‘홍수 위험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m.site.naver.com/1LQJr

AI가 그린 홍수 위험지도… 대도시가 더 위험하다?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 연구팀과 경북대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역별 홍수 위험도를 예측하고 전국의 ‘홍수 위험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m.site.naver.com/1LQJr
POSTECH (@postech2020) 's Twitter Profile Photo

홍합에 둘러싸인 줄기세포 주사 한 방으로 약해진 뼈 되살린다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과 경북대 공동 연구팀이 ‘홍합’에서 착안한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손상된 뼈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m.site.naver.com/1LQLI

홍합에 둘러싸인 줄기세포 주사 한 방으로 약해진 뼈 되살린다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과 경북대 공동 연구팀이 ‘홍합’에서 착안한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손상된 뼈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m.site.naver.com/1LQ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