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co (@_boscofile_) 's Twitter Profile
Bosco

@_boscofile_

한물간 소프트웨어 업계 사람. 잡다하게 관심 많은 고인물이어요. 세상을 구하려고 트위터 하는 거 아니고, 저를 구하려고 합니다

ID: 46073072

calendar_today10-06-2009 09:15:13

40,40K Tweet

986 Followers

1,1K Following

Journey (@atmostbeautiful) 's Twitter Profile Photo

‘문송합니다‘라는 유행어가 무색하게도, 컴퓨터과학 거품 꺼지기 시작. AI는 작문보다 코딩에 훨씬 더 유용, AI 개발자 대체에 가장 적합한 걸로 판명. 얼마 전까지도 유망 학과로 입학 급증했지만 올해 미국 전체 입학생 증가율 0.2%. 이미 감소세로 돌아선 곳 많아. 코딩 학습 열풍도 고점 지나.

말러팔삼 (@mahler83) 's Twitter Profile Photo

사람이 살아가며 제일 중요한 것 하나 꼽으라면 주저없이 효능감이라고 대답할 것 같다. 본인은 그걸 어떻게 채우고 있고 그 과정에 주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나이가 들어갈수록 성찰할 필요가 있다

Libertà (@rotwand81539) 's Twitter Profile Photo

유치원부터 줄세우기하고 의식이 생길때부터 남들과 비교경쟁하며 전국민 아파트 값 일등부터 꼴등까지 누구나 인터넷에 검색만 하면 볼 수 있는 사회에서 자신을 위한 행복찾기는 서울 자가 아파트 마련하기보다 더 힘든 시대다. 그래서 익숙한 행복인 서울 자가 아파트라로 평생 쫓을 수 밖에.

⋆플랜탭ྀྀི⋆ (@plantab_forlife) 's Twitter Profile Photo

솔직히 인문학 전공한거 후회 전혀 안됨. 물론 잘 풀린 동기들 중 우리 전공 시간아깝다고 한 친구들도 많긴 함. 근데 난 진짜 5년간 취업생각보단 내 전공+국제정치사에 다이빙함. 거진 십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뽑아먹을게 무궁무진하고, 내 재산임.

Bosco (@_boscofile_) 's Twitter Profile Photo

미국 동부시각 밤 10시에 발표를 했는데, 이사람 극도로 피로해 보이고 두려움이 느껴지는 표정이라는 나만의 느낌? 연설은 6분 30초부터 시작됩니다. 걱정이 안 될수가 없는 순간 🤦🏻‍♂️

애드맨 (@admanblog) 's Twitter Profile Photo

“일본에서는 나이가 들면 도덕적인 이야기나 ‘좋은 이야기’를 쓰는 작가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나이가 들어도 젊은 사람들이 ‘어쩜 이 늙은이는 이렇게 바보 같은 이야기를 썼나’ 하면서 즐길 수 있는 그런 소설을 쓰고 싶습니다.” v.daum.net/v/202506221314…

최우형 (@woohyong) 's Twitter Profile Photo

트이타야 뭐 다들 하고싶은 아무말 하는데니까 상관없긴 하겠지만, 이란이 핵무장하는 근거가 없다는 주장은 좀 우습긴 하다. 6월20일 IAEA 사무총장 안보리 출석중 발언 IAEA Director General Grossi’s Statement to UNSC on Situation in Iran iaea.org/newscenter/sta…

다림(S2) 🌺🕯️ (@darim_1) 's Twitter Profile Photo

리) 아이의 무례한 행동에 열린 마음으로 위로해 주면 그 이후 경찰서에서 만날 확률이 매우 높아짐. 가르칠 수 있는 시기를 놓쳐서 행동교정 못하고 망친 아이들이 그대로 자라서 만 14세 넘어가면 정말 골치 아파짐. 어릴 때 학교에서 매섭게 훈육하는거 가정이 무조건 따르게 법으로 정했으면.

Bosco (@_boscofile_) 's Twitter Profile Photo

(고양이를 온 국가가 사랑해주는 튀르키에 얘기랍니다) “치료해주세요”…아픈 새끼 물고 직접 동물병원 찾은 길고양이 naver.me/F0A10JR2

가오리연 (@stingraykite) 's Twitter Profile Photo

다 털었다. 극우 유투버들이 기층에 착근되어있지 못하고 유리되어 있음을 조명한다. 청년층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그 비정형성을 관측하고, 액화 노동이라는 테마에 대해 성별과 시점에 따라 달라진 조건들을 톺아본다. 2030 청년남성 비경제활동인구도 더 많은데 왜 불안정노동비율은 더 높음?

다 털었다. 극우 유투버들이 기층에 착근되어있지 못하고 유리되어 있음을 조명한다. 청년층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그 비정형성을 관측하고, 액화 노동이라는 테마에 대해 성별과 시점에 따라 달라진 조건들을 톺아본다. 2030 청년남성 비경제활동인구도 더 많은데 왜 불안정노동비율은 더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