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Aerycrow

@aerycrow

번역자. 과학소설가. Wordsmith.
sf작가연대 회원
aerycrow.bsky.social
앤솔로지 '퍼스트 콘택트'
aladin.kr/p/eqbf0
he/him
메일: [email protected]
#페미니즘
#차별금지법

플텍계정은 블언블합니다.

ID: 154189636

calendar_today10-06-2010 16:17:12

582,582K Tweet

2,2K Takipçi

902 Takip Edilen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난 아프리카 역사를 슬쩍(...그러니까 유튜브로) 보면서 좀 놀랐던 부분이 라이베리아 얘기였음. 미국으로 갔던 흑인노예들이 다시 아프리카로 돌아가 만든 아프리카대륙 최초의 공화국. 식민지였던 적도 없음. 수도 몬로비아는 미국 몬로대통령에서 따왔다고.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그렇다고해서 문제가 없느냐하면, 물론 절대 아님. 독재,기아,내전에 최근엔 에볼라까지. 특히 이 나라 특유의 계층차별문제도 있음. 미국출신?흑인 엘리트와 토착흑인들 사이의 갈등이 150년넘게 이어지고 있다고한다;;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매디슨 그랜트라는 19~20세기초 변호사가 있었죠. 그는 환경보호론자이자 우생학지지자였습니다. 당연히, 인종차별주의자였죠. 그가 쓴 The Passing of the Great Race(위대한 종족의 죽음)은 나치즘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히틀러는 이 책을 '나의 성서다'라고까지 말했지요.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그런데 환경보호론자에서 '어?'하는 사람이 있을겁니다. 인구폭발이 일어나 지구의 자원이 모자를 때가 올 것이고 그 때를 대비해 산아제한을 하고 환경을 보호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누구의 인구? 백인 인구는 아니죠. 비백인 인구를 콕 찝어서 지칭한겁니다.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이 '인구폭발론'을 가장한 인종차별적 자연보호주의는 거기서 멈추지 않았고 20세기를 관통해 지금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동양인,아프리카인 좀 줄인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최근 다시(나치즘에 이어) 재부상중인 인종대체이론Replacement theory와도 맞닿아있죠.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비백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니까 백인들이 위협을 느끼고 있는거죠. 얼마나 위협을 느끼고 있느냐: 바로 일주일 전에 Young Women’s Leadership Summit라는 행사가 열렸는데 진행자(男)가 시작하자마자 '애를 많이 낳아야한다!'가 부르짖습니다.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자연보호론은 100년전에 우생학과 관련있던 시절을 완전히 버렸고 이제 인종차별주의와 결부되어 생각하기가 힘들 정도로 독자적으로 성장했다 할 수 있을겁니다. 그런데 아직도 찌꺼기가 남아 있고 자연보호 얘기를 할 때 인구조절을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면, 조금 생각해볼 문제라는거죠.

Aerycrow (@aerycrow) 's Twitter Profile Photo

(인구폭발론이나 자연보호운동과는 전혀 상관없지만) 당시 유럽인들이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인종차별주의를 체계적으로 완성한건 미국이라 할 수 있을겁니다. x.com/Aerycrow/statu…

AJ+ (@ajplus) 's Twitter Profile Photo

Eco-fascism isn’t just a problem on the right. In this episode of "Backspace," Sana Saeed looks at how replacement theory, eugenics and decades of American policy gave us the overpopulation myth. Watch the full video here: bit.ly/3GGpXih

djunapaprika (@djunapaprika) 's Twitter Profile Photo

아니, 여긴 내가 한 말이 하나도 없는데? 자본주의 비판은 우리의 당연한 의무이고 그에 맞서는 사회주의 선택이 왜 퇴보냐고. 그리고 전 최종 답은 기술적 전환이라고 했는데. 어떻게 ‘소련이 20세기에 뻘짓했다’에서 이런 게 나오지?

향연 (@symposion_) 's Twitter Profile Photo

프로필 상태 가관이네ㅋㅋㅋ 요즘은 극우내란계정에 일장기가 아니라 네덜란드 국기가 들어가는데 왜 이러는지 알려주실 분?

프로필 상태 가관이네ㅋㅋㅋ 요즘은 극우내란계정에 일장기가 아니라 네덜란드 국기가 들어가는데 왜 이러는지 알려주실 분?
베레옹 (@bertandleon) 's Twitter Profile Photo

RT 부탁드려요) 고양이 피부 밑에 자꾸 멍울 같은 게 생기는 증상으로 2차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 등을 진행했는데, "다발성 림프종" 이 의심된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항암치료를 해야한다고 합니다. 이 병에 대해 아시는 보호자님이 계실까 하여 올립니다. 아직 조직검사 결과는 기다리는 중입니다.

토끼: 건강과 평안을 (@lokithorloki) 's Twitter Profile Photo

굉장히 유식한 척 하는 무식한 사람이다... 서양에 콩 요리가 없대 서양에 콩 요리가 없대 서양에 콩 요리가 없대 서양에 콩 요리가 없대 서양에 콩 요리가 없대 미군이 한국에서 콩을 가져가 세계에 퍼트렸다니 그거 어느 세계선인가...........................

토끼: 건강과 평안을 (@lokithorloki) 's Twitter Profile Photo

웬만해서 캡박하지 않는데 이건 정말... 너무나 기록적이다. 두부 재료인 대두 한 종만이 아니라 2천여종의 콩이라고? 고대 이집트인들도 콩을 재배해서 먹었는데 무슨 소리야...

웬만해서 캡박하지 않는데 이건 정말... 너무나 기록적이다.
두부 재료인 대두 한 종만이 아니라 2천여종의  콩이라고?
고대 이집트인들도 콩을 재배해서 먹었는데 무슨 소리야...